
alleysark.tistory.com/247
Preview meta tags from the alleysark.tistory.com website.
Linked Hostnames
4- 24 links toalleysark.tistory.com
- 1 link tocreativecommons.org
- 1 link tomollyrocket.com
- 1 link towww.codezealot.org
Thumbnail
Search Engine Appearance
implementing GJK in 3D
Gilbert - Johnson - Keerthi algorithm. 세 사람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. GJK는 본래 두 convex shape 사이의 최소거리를 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. 이를 활용해서 두 물체가 충돌하는지 처리할 수 있고, 3D 상의 복잡한 convex에 대해서는 SAT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 실시간 충돌처리에 많이 사용된다. GJK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은 Christer Ericson의 과 William Bittle씨의 블로그 그리고 이분이 소개해준 동영상(http://mollyrocket.com/849)을 통해 익혔고, 이를 확장하여 3D에서의 GJK를 구현하였다. 주요 자료구조와 함수에 대한 설명만으로 구현설명을 대신하겠다. Simplex 사면체(tetrahedron)를 이루는 네 개..
Bing
implementing GJK in 3D
Gilbert - Johnson - Keerthi algorithm. 세 사람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. GJK는 본래 두 convex shape 사이의 최소거리를 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. 이를 활용해서 두 물체가 충돌하는지 처리할 수 있고, 3D 상의 복잡한 convex에 대해서는 SAT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 실시간 충돌처리에 많이 사용된다. GJK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은 Christer Ericson의 과 William Bittle씨의 블로그 그리고 이분이 소개해준 동영상(http://mollyrocket.com/849)을 통해 익혔고, 이를 확장하여 3D에서의 GJK를 구현하였다. 주요 자료구조와 함수에 대한 설명만으로 구현설명을 대신하겠다. Simplex 사면체(tetrahedron)를 이루는 네 개..
DuckDuckGo
implementing GJK in 3D
Gilbert - Johnson - Keerthi algorithm. 세 사람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. GJK는 본래 두 convex shape 사이의 최소거리를 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. 이를 활용해서 두 물체가 충돌하는지 처리할 수 있고, 3D 상의 복잡한 convex에 대해서는 SAT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 실시간 충돌처리에 많이 사용된다. GJK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은 Christer Ericson의 과 William Bittle씨의 블로그 그리고 이분이 소개해준 동영상(http://mollyrocket.com/849)을 통해 익혔고, 이를 확장하여 3D에서의 GJK를 구현하였다. 주요 자료구조와 함수에 대한 설명만으로 구현설명을 대신하겠다. Simplex 사면체(tetrahedron)를 이루는 네 개..
General Meta Tags
26- titleimplementing GJK in 3D
- X-UA-CompatibleIE=Edge
- format-detectiontelephone=no
- referreralways
- google-adsense-platform-accountca-host-pub-9691043933427338
Open Graph Meta Tags
7- og:typearticle
- og:urlhttps://alleysark.tistory.com/247
- og:site_name앨리삵
- og:titleimplementing GJK in 3D
- og:descriptionGilbert - Johnson - Keerthi algorithm. 세 사람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. GJK는 본래 두 convex shape 사이의 최소거리를 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. 이를 활용해서 두 물체가 충돌하는지 처리할 수 있고, 3D 상의 복잡한 convex에 대해서는 SAT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 실시간 충돌처리에 많이 사용된다. GJK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은 Christer Ericson의 과 William Bittle씨의 블로그 그리고 이분이 소개해준 동영상(http://mollyrocket.com/849)을 통해 익혔고, 이를 확장하여 3D에서의 GJK를 구현하였다. 주요 자료구조와 함수에 대한 설명만으로 구현설명을 대신하겠다. Simplex 사면체(tetrahedron)를 이루는 네 개..
Twitter Meta Tags
4- twitter:cardsummary_large_image
- twitter:site@TISTORY
- twitter:titleimplementing GJK in 3D
- twitter:descriptionGilbert - Johnson - Keerthi algorithm. 세 사람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. GJK는 본래 두 convex shape 사이의 최소거리를 구하기 위해 고안되었다. 이를 활용해서 두 물체가 충돌하는지 처리할 수 있고, 3D 상의 복잡한 convex에 대해서는 SAT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 실시간 충돌처리에 많이 사용된다. GJK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은 Christer Ericson의 과 William Bittle씨의 블로그 그리고 이분이 소개해준 동영상(http://mollyrocket.com/849)을 통해 익혔고, 이를 확장하여 3D에서의 GJK를 구현하였다. 주요 자료구조와 함수에 대한 설명만으로 구현설명을 대신하겠다. Simplex 사면체(tetrahedron)를 이루는 네 개..
Link Tags
14- canonicalhttps://alleysark.tistory.com/247
- stylesheet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_admin/userblog/userblog-39ee03342e373848ba7c0bb12e153b29db04aa6b/static/plugin/BusinessLicenseInfo/style.css
- stylesheet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_admin/userblog/userblog-39ee03342e373848ba7c0bb12e153b29db04aa6b/static/plugin/CommentCaptcha/style.css
- stylesheet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_admin/userblog/userblog-39ee03342e373848ba7c0bb12e153b29db04aa6b/static/plugin/TistoryProfileLayer/style.css
- stylesheet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www/style/font.css
Links
27- http://mollyrocket.com/849
- http://www.codezealot.org/archives/88
- https://alleysark.tistory.com
- https://alleysark.tistory.com/242
- https://alleysark.tistory.com/244